분류 전체보기

    스타벅스 VS 이디야 - ArcGIS를 이용한 시각화

    스타벅스와 이디야, 서로 다를까? 오래전에 스타벅스와 이디야의 브랜드 전략에 대한 기사를 읽은 적이 있었다. 두 커피 프렌차이즈가 서로 다른 전략으로 우리나라의 커피 시장에 자리잡게 된 내용이었다. 기사를 읽기 전에도 두 커피 전문점의 전략이 다를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 이유는 해외에서 넘어온 스타벅스와 달리 이디야 커피는 한국 토종 브랜드이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디야라는 이름을 듣고 해외 브랜드인지 국내 브랜드인지 헷갈려했을 수도 있겠지만, 이디야는 한국에서 시작해 3500호점을 낸 우리나라 브랜드이다. 지금은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투썸플레이스 등의 다양한 커피 전문점들에 의해 국내 브랜드 강자의 이미지를 잃었지만, 2019년까지만 해도 이디야는 국내에 수많은 체인점을 보유해 상당한 영향력을 ..

    소셜메트릭스 - 진로 소주 분석

    다음소프트의 소셜메트릭스 다음소프트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재는 카카오)에서 2000년도에 분사하여 설립된 AI, 빅데이터 전문 회사이다. 지금은 바이브컴퍼니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 같다. (2019년도까지만 해도 다음소프트였기에 이번 글에서는 다음소프트라 칭하겠다.) 다음소프트를 알게 된 것은 2019년도였다. 교내 경영학부에서 주관한 'Business Analytics Academy' 프로그램에 선발되면서 약 9주간 다음소프트에서 진행한 빅데이터 강의를 이수할 수 있었다. 강의는 주로 트랜드 분석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분석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와 그 활용법에 대한 내용이 주였다. 그리고 다음소프트에서 개발한 소셜메트릭스라는 분석 툴(Tool)을 소개하면서 해당 툴로 할 수 있..

    마스크 재고 알림 앱 - COMA(COrona Mask Alarm)

    프로젝트의 시작, 마스크 대란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를 기점으로, 2020년 2월 17일에 대구에 위치한 한 종교 시설에서 대규모 집단 감염이 발생하였다. 이의 여파로, 마스크 수요가 폭증하였고 국민 모두가 마스크를 구입하기 위해 여러 약국을 찾아다니는 사태가 일어났다. 이후 2020년 3월 9일부터 마스크 5부제를 시행하면서 수요를 완화시켰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고가 부족한 약국이 빈번해 헛걸음을 하는 시민들이 많았다. 이를 해결하고자, 고려대 학생들과 멋쟁이 사자처럼과 같은 몇몇의 개발자들이 마스크 재고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도 앱을 제작하여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해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선한 영향력을 이어받아, 우리도 직접 마스크 재고 알림 앱을 만들어 보기로 하였다. 약..

    커뮤니티매핑(Community Mapping)에 대하여

    커뮤니티매핑이란? 커뮤니티매핑은 지역 공동체(Community)와 지도제작(Mapping)의 합성어로 집단지성에 기반하여 함께 만들어가는 참여형 지도 제작 방법이다. 지역 구성원들이 지도제작에 참여함으로써 지역 내 사회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미국 Meharry 의대에서 교수로 일하고 계시는 임완수 박사님의 '뉴욕 화장실 지도'가 있다. 2005년 그가 딸과 함께 뉴욕 여행을 갔을 때 급하게 볼일을 봐야했지만 화장실의 위치를 찾을 수 없어 곤혹을 치뤘던 경험을 바탕으로, 2006년에 뉴욕 시민들과 함께 화장실 지도를 만들면서 탄생하게 된 사이트이다. 웹 페이지를 방문한 사람들이 자신이 아는 공공 화장실의 위치를 공유하면서 1개월만에 무려 453개의 화장실 위치를 파악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