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공항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
프로젝트의 시작 해당 프로젝트는 2021년도에 데이터 청년캠퍼스 프로그램을 이수하면서 시작되었다. 빅데이터 분석의 전반적인 과정을 배우면서 이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수료가 가능했다. 더불어 12팀 중에서 대학 대표로 선정될 경우, 다른 대학교들과 경쟁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었다. 프로젝트의 주제를 선정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각자 하고 싶은 주제가 달랐고,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논의 끝에 데이콘에서 진행하는 교통데이터 활용 공모전에 참여하는 것으로 결론을 낼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항공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기로 결정하였다. 해결할 수 있는 문제, 항공 지연 분석은 공항 온실가스 감축에 초점을 맞추기로 하였다. 당시 ESG에 대해 정부와 기업이 ..
스마트 버스정류장 입지선정 - LH COMPAS 공모전
국토도시 데이터 분석 과제 LH COMPAS에서 진행한 공모전으로, 수원시 스마트 버스정류장 입지선정이라는 과제에 참여해 공간 분석을 진행한 경험이 있다. 이전에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에 함께 참가한 팀원들과 다시 한번 '공간발굴단'이라는 이름으로 참여했던 과제이기도 하다. 분석 목표는 수원시의 기존 버스정류장들 중 30개를 선정해 시민들을 위한 여러 기능을 보유한 스마트 버스정류장으로 개선하는 것이었다. 분석에 사용할 데이터는 COMPAS 사이트 내에서 모두 제공하여 상세한 분석이 가능하였고, Python으로 분석 결과를 제출해야 하는 조건이 있었다. 그동안 GIS와 R을 주로 사용해왔기에 Python을 이용해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쉽지 않을 거라 생각되었지만, 결과적으로는 Python에 대해 더 많이 ..
스마트시티(Smart City)와 미래 교육의 변화에 대하여
스마트 시티의 구축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도시는 꾸준히 지속하여 발전해왔다. 그리고 미래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도시는 늘 그래왔듯이 진화할 것이다. 그 진화한 도시를 우리는 스마트시티라고 보고 있으며, 이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앞서 선행되어야 하는 다양한 기술들의 구축이 요구된다. 우선, 스마트시티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람이 손쉽게 해결할 수 없는 일을 해결할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본격적으로 필요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AI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도시에 관련된 수많은 데이터가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요구되는 방대한 도시 데이터(도시 빅데이터)를 관리하고 다루기 위해서는 데이터 허브라고 불리는 플랫폼을 꼭 구축할 필요가 있다...
Mapbox사용법 - 다양한 테마의 지도를 적용하자
Mapbox란? Mapbox는 2010년부터 지금까지 쿠팡, The New York Times, CNN, BMW 등의 여러 기업의 웹 및 어플리케이션에 들어가는 맞춤형 온라인 지도를 제공하고 있는 미국 업체이다. 2020년 10월 기준, Mapbox의 기업가치는 무려 1조원에 달할 정도로 미국에서 지도와 관련된 서비스의 선두주자로 발걸음하고 있다. Mapbox에 들어가면 자신이 원하는 테마의 지도를 직접 생성할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다뤄볼 예정이다. 필자도 꽤나 헤멨던 부분이니, 해당 포스팅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 Mapbox에서 Custom Map 생성하기 Mapbox에서 Custom Map을 생성해 QGIS 또는 ArcGIS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총 3가지가..
HorseFarm(3) - View생성
자주 사용하는 정보를 정리해두자 앞서 데이터 테이블을 정의하고 각 테이블과의 관계를 정의해보았다. 이번에는 필요한 정보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View를 만들어 볼 예정이다. View를 미리 생성함으로써 갖는 장점은, 자주 사용하는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의 긴 탐색 과정 없이 바로 볼 수 있다는 점과 정보를 보기 편한 순서로 정리하여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참고로 View는 생성한 뒤에 Alter로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알두자. (Drop만 가능) 뷰 생성(Create View) 1. 말의 주인에 대한 정보를 View로 만들어 보자 Create view horse_owner as select b.first_name, b.last_name, b.primary_phone,..
우리동네 키움센터 입지선정 -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 공모전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 공모전 2020년도 9월에 서울시에서 주최한 빅데이터캠퍼스 공모전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서울시에서 구축한 빅데이터캠퍼스 내에 있는 데이터를 활용해 원하는 분석을 진행하는 공모전이었다. 공모전에 참여하기 위해 팀원을 모았고, 나를 포함한 4명의 팀원이 공모전에 참여하였다. (팀 이름은 나의 깊은 고뇌 끝에 '공간발굴단'이라는 팀명이 탄생하였고, 팀원들의 동의로 확정될 수 있었다. 하하) 팀장으로서 어떤 주제를 해야될지 많은 고민을 하였는데, 당시에 '세웃'이라는 앱을 개발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한 돌봄 공백 문제가 얼마나 심한지 알고 있었기에 이와 관련된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일 거라 판단하여 이를 팀원과 논의하였다. 그 결과, 우리동네 키움센터라는 주제를 발견할 수 있..
HorseFarm(2) - 데이터의 연결
데이터의 연결(Foreign Key)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를 서로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는지 다뤄볼 예정이다. 앞서 만든 9개의 테이블이 각 객체를 나타냈다면, 이번에는 각 객체를 참조하여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만들어볼 것이다. 다른 테이블을 참조하기 위해서는 foreign key(외래키)를 이용해야 된다. 1. horse_barn 테이블을 만들어서 horse(말)과 stall(호실)과 pasture(목초지)의 관계를 정의하자. create table horse_barn ( horse_id int not null, stall_id int, pasture_id int, primary key (horse_id), foreign key (horse_id) references horse (ID), foreig..
딥러닝을 활용한 애호박 선별기
애호박 선별기 2020년도 여름방학, 창업동아리를 통해 알게 된 친한 형에게 연락이 왔었다. 방학 동안 딥러닝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해보고 싶은데 어떤 프로젝트를 하는 게 좋을지에 대한 이야기였다. 당시, 형이 가장 관심 있어하던 분야가 화훼와 농산물 산업이었고,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분야는 영상 딥러닝과 지도 산업 쪽이었다. 그 결과, 농산물의 등급을 분류할 수 있는 영상 딥러닝을 개발하는 건 어떤지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고, 긴 논의 끝에 가능성이 보이자 곧바로 실행에 옮겨 팀원을 모집하였다. 실행 가능성을 확신한 이유는 단순했다. 관련된 선행연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영상 딥러닝에 호기심을 갖기 시작했을 때쯤, 우연히 유튜브에서 텐서플로우를 이용해 개발한 오이 선별기를 본 적이 ..
HorseFarm(1) - 데이터베이스 활용
말 농장(Horse Farm) 이번 글에서는 말농장 주인이 되보고자 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다양한 말과 고객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과정을 다뤄볼 예정이다. 데이터베이스 생성(Create Database) 우선 말농장을 관리할 마구간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준다. mysql> create database horsestable; 말농장에 들어갈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마구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함을 명시해준다. mysql> use horsetable; 테이블 생성(Create Table) 우리가 생성할 테이블은 총 9개로 (말, 기수, 학생, 곡물, 건초, 침구, 직원, 호실, 목초지)이다. 1. 마구간의 '말' 테이블을 생성한다. mysql> create table horse ( -> ID int..
코딩없이 API로 앱을 만들어보자 - feat. BiPlug
바이플러그(BiPlug) 바이플러그는 코딩없이 GUI만을 이용해 간단한 앱을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우연한 기회로 유료 회원 쿠폰을 받아 알게 된 프로그램이지만, 특별한 기능없이 아이디어를 활용한 정말 간단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보고 싶다면 해당 서비스를 한번 활용해봐도 괜찮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쿠폰을 사용해보고자 바이플러그를 이용해 간단한 앱을 만들어보았고, 장단점은 아래와 같았다. 장점 빠르게 기획한 앱을 구현해 볼 수 있다 데이터 API를 활용할 수 있다 단점 간단한 색상 외에는 디자인을 변경하기 어렵다 주어진 기능들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 무료급식소 위치 제공 앱 - 착한급식 ‘착한급식’은 코로나19로 인해서 발생한 무료급식소 폐쇄에 따라 노숙인들이 장거리를 걸어서 열려있는 무료급식소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