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pbox란?
Mapbox는 2010년부터 지금까지 쿠팡, The New York Times, CNN, BMW 등의 여러 기업의 웹 및 어플리케이션에 들어가는 맞춤형 온라인 지도를 제공하고 있는 미국 업체이다. 2020년 10월 기준, Mapbox의 기업가치는 무려 1조원에 달할 정도로 미국에서 지도와 관련된 서비스의 선두주자로 발걸음하고 있다.
Mapbox에 들어가면 자신이 원하는 테마의 지도를 직접 생성할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다뤄볼 예정이다. 필자도 꽤나 헤멨던 부분이니, 해당 포스팅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
Mapbox에서 Custom Map 생성하기
Mapbox에서 Custom Map을 생성해 QGIS 또는 ArcGIS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총 3가지가 필요하다.
첫 번째는 Mapbox username으로, 회원가입을 할 때 만든 아이디명이다.
두 번째는 Mapbox style ID로, 원하는 테마로 생성한 지도에 할당되는 아이디이다.
세 번째는 Mapbox acess token으로, 각 계정에 접근하기 위해 생성하는 토큰이다.
Maps, geocoding, and navigation APIs & SDKs | Mapbox
Integrate custom live maps, location search, and turn-by-turn navigation into any mobile or web app with Mapbox APIs & SDKs. Get started for free.
www.mapbox.com
우선, 위의 Mapbox 사이트를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하여 로그인을 해준다. 회원가입 절차는 그렇게 복잡하지 않으니 빠르게 생성해보자. 참고로, 구글 아이디를 사용하면 더욱 빠르게 가입할 수 있다.
로그인을 하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나타난다. 여기서 Create map in Studio를 클릭하면 원하는 테마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오른쪽에 있는 See examples를 클릭하면, Mapbox의 다양한 지도 기능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우선, 아래의 Create a token 버튼을 눌러 토큰을 먼저 생성하도록 하자.
Create a token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나타난다. 여기서 토큰의 이름과 토큰이 가진 접근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Access Token은 지도에 접근하기 위한 비밀번호이자 접근권한을 포함한 동전과 같은데, 이를 생성하여 공유한다면 타인이 내가 만든 Custom Map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Create map in Studio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지금까지 만들어 온 지도 테마를 볼 수 있는 리스트가 나타난다. 여기서 New Style 버튼을 눌러 필요한 조건에 알맞는 새로운 테마의 지도(Custom Map)를 생성해주면 된다.
New Style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뜨는데, 여기서 미리 만들어져 있는 템플릿을 이용해 더욱 쉽게 원하는 테마를 구축할 수 있다. 지도의 색상은 Base, Chilled, Galaxy, Overcast, Seashore, Spring 등 다양한 테마로 제공되니 한번씩 확인보도록 하자.
또한, 원하는 테마의 템플릿이 없으면 Blank를 선택해 직접 원하는 템플릿을 구현할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 만들어진 템플릿들이 모두 유용해서 완성된 템플릿을 조금 변경하는 방법으로도 충분히 필요한 Custom Map을 생성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된다.
템플릿을 골라 원하는 Custom Map을 생성했다면, 다시 Styles 화면으로 돌아와 생성한 지도 오른쪽에 위치한 목록 버튼(점 3개)을 눌러주도록 하자. 그럼 맨 밑에 Style URL이라는게 보일텐데 이를 Copy 버튼으로 복사하면 QGIS에 Custom Map을 적용하기 위한 모든 준비가 끝난다.
QGIS에 Custom Map 적용하기
우선, 앞서 만든 3가지(username, style ID, acess token)의 조건 요소를 이용해 WMTS(Web Map Tile Service) endpoint URL을 만들어야 한다.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https://api.mapbox.com/styles/v1/'Mapbox username'/'Mapbox style ID'/wmts?access_token='Mapbox access token'
따옴표와 파란색 글씨로 작성된 칸에 각 요소를 넣어주기만 하면 된다. (넣을 때 따옴표는 없애주도록 하자)
다음으로 QGIS를 열어 빈레이어를 불러오자. 그리고 레이어 탭의 레이어 추가 버튼을 따라 'WMS/WMTS 레이어 추가' 기능을 눌러주면 Mapbox에서 생성한 Custom Map을 적용할 수 있는 화면이 생성된다.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생성되는데, '새로 생성' 버튼을 눌러 Custom Map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입력하여 지정해 주면 된다.
명칭은 원하는 이름으로 넣어주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건 URL 칸으로, 안에 앞서 생성한 WMTS endpoint URL을 입력해줘야 한다. 나머지 설정은 그대로 유지해주면 된다.
마지막으로, '연결' 버튼을 누르면 해당 Custom Map의 타일셋을 레이어로 추가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타난다. 이를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하여 추가해주면 지도에서 자신이 만든 Custom Map을 확인할 수 있다.
위는 서로 다른 테마를 적용한 Custom Map 위에 투명도를 조절한 수원시 행정구 벡터 레이어를 올려 생성한 지도이다. 이와 같이 다른 색상의 테마를 적용하면, 각 주제도에서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잘 안되거나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면, 아래의 Mapbox 공식 문서를 확인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로 문서가 영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포스팅과 비교하면서 진행해보는 것도 괜찮을 거라 생각한다.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더욱 쉽게 Mapbox에서 Custom Map을 생성해 QGIS에 적용할 수 있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
https://docs.mapbox.com/help/tutorials/mapbox-arcgis-qgis/
Add Mapbox maps as layers in ArcGIS and QGIS with WMTS | Help
Learn how to add Mapbox maps as layers in ArcGIS and QGIS with WMTS.
docs.mapbox.com
'공간정보 > 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벅스 VS 이디야 - ArcGIS를 이용한 시각화 (0) | 2021.12.30 |
---|